CS의 강의를 들으며 강의의 내용을 정리하려고 한다.
이론적인 부분이라 살짝(?) 지루 할 수도 있지만 내용을 이해하고 우리가 배우는 언어가 어떤 식으로 처리되는 원리를 이해한다면 내용이 더욱 재미있게 와닿을 거 같다.
CPU
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컴퓨터의 뇌를 담당한다. 주로 프로그램 기능을 제어하고 연산하는 기능을 하며 CPU안에서도 다양한 기능이 있다.
- ALU : Arithmetic Logic unit의 약자로 사람의 우뇌 역할을 하며 비교, 판단, 연산을 담당한다.
- CU : Control Unit의 약자로 사람의 좌뇌 역할을 하며 주로 주기억 장치에 저장 된 내용을 불러와 내용 해독하는 제어부와 컴퓨터를 동작하게 하고 주기억 장치와 입출 장치, 통신 처리등을 제어부와 연결한다.
- Memory Unit
레지스터 / rigisters : 프로세스에서 바로바로 사용가능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곳으로 고성은 메모리이며 다양한 레지스터가 있다.
캐시 메모리(L1) : 처리속도를 높여주는 역할 거드는 친구(?)이다
메모리
레지스터 : CPU 레지스터는 CPU안에서 연산을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고
캐시메모리(L1)는 cpu와의 구성 메모리이고 캐시메모리(L2, L3)는 별개의 메모리이다.
메인메모리(DRAM) = 주 기억장치는 전원이 꺼지면 지워지는 데이터가 지워지지만 좀 더 빠르게 조회가 가능한 저장공간이다.
하드디스크(HDD) = 보조 기억 장치로 전원이 꺼져도 지원 지지 않은 반영구적인 저장공간 인다. 하지만 그만큼 데이이터를 가져오는데 시간이 소요된다.
속도 : SRAM(레지스터, 캐시메모리) > 메인메모리(DRAM) > 하드디스크(HDD)